Department of Biomedical Sciences, SNU

연구

연구분야
[세포기능센싱 및 제어연구실]에서는 실시간 세포 이미징과 광유전학 기술을 통해 다양한 질병과 관련된 다이나믹한 단백질 상호작용 및 복잡한 세포 기능의 시공간적 작동기전 규명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형광단백질 기반 형광분자센서와 신규 광유전학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질병의 분자 수준 병리기전 이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세포의 기능을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는 유전자/세포 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세포 기능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핵심 단백질을 디자인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Pure Link
전공분야 핵심단어
Cell therapy, Therapeutic protein design, Protein dynamics, Cell function imaging, Fluorescent sensor, Optogenetics

학력

  • 2003 학사,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약학)
  • 2005 석사,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약학)
  • 2012 박사, 일리노이 주립대학교 (뇌과학)

주요 경력

  • 2013 박사후 연구원, 스탠포드 의과대학
  • 2014.01-2023.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KIST)
  • 2023.09-현재 교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주요 논문

  1. Seong J, Lin MZ (2021) Optobiochemistry: Genetically encoded optical control of protein activity by light. Annual Review of Biochemistry, 90:475-501
  2. Lee HN, Hyeon SJ, Kim HJ, Sim KM, Kim Y, Ju J, Lee J, Wang Y, Ryu H, Seong J (2022) Decreased FAK activity and focal adhesion dynamics impair proper neurite formation of medium spiny neurons in Huntington’s disease. Acta Neuropathologica,144(3):521-536
  3. Kim H, Nam MH, Jeong S, Lee H, Oh SJ, Kim J, Choi N, Seong J (2022) Differential receptor crosstalk in the DRD1-DRD2 heterodimer upon phasic and tonic dopamine signals. Progress in Neurobiology, 213:102266
  4. Ju J, Lee HN, Ning L, Ryu H, Zhou XX, Chun H, Lee YW, Lee-Richerson AI, Jeong C, Lin MZ, Seong J (2022) Optical regulation of endogenous RhoA reveals switching of cellular responses by signal amplitude. Cell Reports, 40(2):111080
  5. Kim HJ, Kim H, Choi J, Inn K-S, Seong J (2020) Visualization of autophagy progression by Red-Green-Blue autophagy sensor. ACS Sensors, 5(12):3850-38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