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의과대학 정기훈 교수, 미개척지 골수성 면역세포 연구…차세대 면역항암 치료전략 개발
면역 항암 분야 세계적 연구성과로 주목받는 의과학자
정기훈 서울대 의과대학 교수(사진)가 중개 종양 면역학 분야에서 차세대 면역항암 치료 전략을 개발해 주목받고 있다. 카이스트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하버드 의대에서 박사 후 수련과정을 거친 정 교수는 2018년 서울대 의과대학에 자신의 연구실인 ‘종양 면역학 및 생체 내 이미징 실험실’을 꾸렸다.
정 교수는 종양 면역학 분야 중에서도 미개척 분야인 골수성 면역 세포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는 골수성 면역 세포와 관련한 기초 생물학적 분석을 통해 새로운 치료 타깃을 밝혀내는 데 집중하고 있다.
종양은 발달과 성장 과정에서 체내의 다양한 면역 반응을 회피하는 게 특징이다. 이런 작용은 면역 관문을 통해 일어나기도 하는데, 이를 역으로 이용하는 면역 관문 억제에 기반한 항암 요법이 개발돼 임상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적용되는 면역 항암 요법은 극히 일부의 암 환자에게만 효능을 보이는 게 한계였다.
정 교수팀은 면역 항암 요법의 이런 한계를 극복하는 데 힘을 쏟고 있다. 정 교수팀의 연구 성과는 해당 분야의 최고 권위 학술지인 ‘네이처 캔서(2023)’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2022)’ 등에 연달아 발표되며 성과를 인정받고 있다. 또 차세대 실시간 생체 현미경 장비를 개발해 새로운 치료 타깃이 될 수 있는 분자 간의 작용과 면역 세포 기능 분석 패러다임을 획기적으로 전환했다는 평가다. 이를 통해 기존 기술로는 관찰하지 못하던 ‘실제 생명 현상’을 새로운 실험 기법으로 밝혀내는 독창적이고 고차원적인 연구 활동을 펼치고 있다고 평가받는다.
정 교수팀은 실제 암 환자 조직의 임상 시료에 최신 단일 세포 전사체 분석법을 도입하고 있다. 이를 통해 새로운 차원의 면역 항암 치료제의 타깃이 되는 다양한 골수성 면역 세포의 종류와 특성을 새롭게 규명하고 있는 것이다. 그 일환으로 단백질 신약 및 유전자 치료제 등 새로운 치료 후보물질 개발에도 힘을 쏟고 있다. 정 교수는 그동안의 연구 활동 성과를 인정받아 서울대 교수 중 젊고 유능한 신진 교수에게 수여하는 ‘창의 선도 신진 연구자’에 최근 선정됐다.
암은 한국인 사망 원인 1위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1년 사망자 31만7000여 명 중 26%가 암으로 사망했다. 암을 정복하기 위한 인류의 노력은 계속될 전망이다.
정 교수는 “임상의사, 의공학자, 생명과학자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높은 수준의 연구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며 “질병의 본질을 보다 심도 있게 이해하고 연구해 국내 의학 연구 분야에서 더 큰 학술적 공헌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출처: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3021452481
정기훈 서울대 의과대학 교수(사진)가 중개 종양 면역학 분야에서 차세대 면역항암 치료 전략을 개발해 주목받고 있다. 카이스트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하버드 의대에서 박사 후 수련과정을 거친 정 교수는 2018년 서울대 의과대학에 자신의 연구실인 ‘종양 면역학 및 생체 내 이미징 실험실’을 꾸렸다.
정 교수는 종양 면역학 분야 중에서도 미개척 분야인 골수성 면역 세포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는 골수성 면역 세포와 관련한 기초 생물학적 분석을 통해 새로운 치료 타깃을 밝혀내는 데 집중하고 있다.
종양은 발달과 성장 과정에서 체내의 다양한 면역 반응을 회피하는 게 특징이다. 이런 작용은 면역 관문을 통해 일어나기도 하는데, 이를 역으로 이용하는 면역 관문 억제에 기반한 항암 요법이 개발돼 임상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적용되는 면역 항암 요법은 극히 일부의 암 환자에게만 효능을 보이는 게 한계였다.
정 교수팀은 면역 항암 요법의 이런 한계를 극복하는 데 힘을 쏟고 있다. 정 교수팀의 연구 성과는 해당 분야의 최고 권위 학술지인 ‘네이처 캔서(2023)’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2022)’ 등에 연달아 발표되며 성과를 인정받고 있다. 또 차세대 실시간 생체 현미경 장비를 개발해 새로운 치료 타깃이 될 수 있는 분자 간의 작용과 면역 세포 기능 분석 패러다임을 획기적으로 전환했다는 평가다. 이를 통해 기존 기술로는 관찰하지 못하던 ‘실제 생명 현상’을 새로운 실험 기법으로 밝혀내는 독창적이고 고차원적인 연구 활동을 펼치고 있다고 평가받는다.
정 교수팀은 실제 암 환자 조직의 임상 시료에 최신 단일 세포 전사체 분석법을 도입하고 있다. 이를 통해 새로운 차원의 면역 항암 치료제의 타깃이 되는 다양한 골수성 면역 세포의 종류와 특성을 새롭게 규명하고 있는 것이다. 그 일환으로 단백질 신약 및 유전자 치료제 등 새로운 치료 후보물질 개발에도 힘을 쏟고 있다. 정 교수는 그동안의 연구 활동 성과를 인정받아 서울대 교수 중 젊고 유능한 신진 교수에게 수여하는 ‘창의 선도 신진 연구자’에 최근 선정됐다.
암은 한국인 사망 원인 1위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1년 사망자 31만7000여 명 중 26%가 암으로 사망했다. 암을 정복하기 위한 인류의 노력은 계속될 전망이다.
정 교수는 “임상의사, 의공학자, 생명과학자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높은 수준의 연구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며 “질병의 본질을 보다 심도 있게 이해하고 연구해 국내 의학 연구 분야에서 더 큰 학술적 공헌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출처: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30214524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