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partment of Biomedical Sciences, SNU

연구

연구분야
본 연구실은 memory CD8 T 세포의 분화 및 Ag-experienced memory CD8 T 세포가 anergic phenotype을 갖게 되는데 관련된 인자를 규명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특히 TCR 자극에 반응하지 특정 CD8 T-cell subset이 어떤 기전으로 TCR signaling에 결함을 갖게 되는지? 이 세포의 중요한 병태생리학적인 의미를 감염 모델이나 종양 모델을 통해서 밝히고자 한다.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암에서 면역치료요법은 종양 특이적인 T 세포의 활성 조절 및 종양미세환경의 조절로 강화될 수 있기에 T 세포에 대한 직∙간접적인 활성조절을 통한 면역치료법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와 연관되어 대사 산물 및 대사경로 재편(reprogramming/switching)이 CD8 T 세포의 분화와 기능을 어떻게 조절하는지 규명하고자 한다. 면역세포의 분화와 기능에 대한 이해를 넓히기 위해 우리는 epigenetic 도구로서 chromatic openness 분석하기 위해 ATAC-Seq 방법을 도입하여, 최근에 우리는 위암 환자에서 PD-1 치료에 대한 반응을 예측하는 표지자를 개발했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염증환경 (metabolite 포함)이나 surface topography에 따른 세포의 분화 조절 유도 및 이와 관련된 기전을 연구하여 세포의 분화를 조절하고자 한다. 전반적으로 우리의 연구는 면역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려지지 않은 요소와 메커니즘을 발견하고 궁극적으로 질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임상 적용에 기여하고자 한다.
전공분야 핵심단어
Function/differentiation of memory CD8+ T cells, T-cell anergy, Immune modulation by metabolites/metabolism, Immune-oncology, Mechanobiology (surface topology)
심화전공

학력

  • 1995년, 학사,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 1997년, 석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 2004년, 박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주요 경력

  • 1999-2004, 팀장/책임연구원, ㈜바이오니아
  • 2004-2008, 박사후연구원, 예일대학교 의과대학
  • 2008-현재, 조교수/부교수/교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대학원 의과학과/의학과 해부학교실
  • 2018-2019, 방문교수, 예일대학교 의과대학

주요 논문

  1. Kang CK, Kim M, Lee S, Kim G, Choe PG, Park WB, et al. Longitudinal Analysis of Human Memory T-Cell Response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Illness up to 8 Months after SARS-CoV-2 Infection. J Infect Dis. 2021.
  2. Shin HM, Kim G, Kim S, Sim JH, Choi J, Kim M, et al. Chromatin accessibility of circulating CD8(+) T cells predicts treatment response to PD-1 blockade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Nat Commun. 2021;12(1):975.
  3. Sim JH, Kim JH, Park AK, Lee J, Kim KM, Shin HM, et al. IL-7Ralpha(low) CD8(+) T Cells from Healthy Individuals Are Anergic with Defective Glycolysis. J Immunol. 2020;205(11):2968-78.
  4. Shin HM, Ju Y, Kim G, Lee JW, Seo MW, Sim JH, et al. Recyclable Cytokines on Short and Injectable Polylactic Acid Fibers for Enhancing T-Cell Function. Adv Funct Mater. 2019;29(14).
  5. Kim CS, Kim JH, Kim B, Park YS, Kim HK, Tran HT, et al. A Specific Groove Pattern Can Effectively Induce Osteoblast Differentiation. Adv Funct Mater. 2017;27(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