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partment of Biomedical Sciences, SNU

연구

연구분야
A.인체 세포주 및 오가노이드 수립 및 특성분석, 종양세포주와 오가노이드의 유전체분석 및 HTS 항암제스크리닝, 액체생검과 암세포 엑소좀의 miRNA분석, 세포주 및 오가노이드의 바이오뱅킹과 보존, 국제특허미생물(세포주)기탁기관 (KCLRF)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지정 생명연구자원기탁등록보존기관 서울대학교 한국세포주은행, 배양세포 클러스터 중앙은행 서울대학교 한국세포주은행 연구과제 책임자

B.인체종양세포주 및 오가노이드는 암연구를 비롯한 생명과학연구에 있어 필수적인 연구소재이다. 본연구실에서는 인체종양세포주와 오가노이드를 직접 수립하고 다양한 실험기법으로 특성을 분석하여 생명연구자원화하고 있으며, 한국세포주은행을 통해 전세계 연구자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현재 수행되고 있는 연구는 다음과 같다.

(1) 인체종양세포주 및 오가노이드의 개발과 특성분석 : 유전체 특성분석 및 high throughput screening(HTS)을 이용한 anticancer drug screening, (2) 동일환자에서 수립된 원발성 및 전이성 대장암세포주에서 차별발현되는 바이오마커 발굴과 특성분석, (3) 항암제내성 혹은 방사선내성이 유도된 인체종양세포주에서 차별발현되는 유전자의 발굴과 특성분석 (4) 유전성대장암관련 유전자의 발굴과 특성분석과 조기발병 대장암의 유전체 분석, (5) 인체종양세포주 및 오가노이드에서 항암제 및 방사선 내성과 관련된 유전자 발굴과 특성분석을 WES 및 RNA sequencing, 항암제감수성 스크린 등의 실험기법과 다양한 세포학적 및 분자생물학적 실험기법으로 수행하고 있다.
전공분야 핵심단어
Establishment and characterization of human cell lines and organoids, NGS analysis and anticancer drug screening (HTS) in cancer cell lines and organoids, exosomal miRNA profiling in liquid biopsy and

학력

  • 1992,1994 학사, 석사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 1998 박사,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의병리학, 종양세포생물학)

주요 경력

  • 1994-2001 서울대학교 암연구센터, 연구원, 선임연구원
  • 2001-현재, 조교수, 부교수, 교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 2008-현재, 암연구소 연구지원부장, 연구부장
  • 2013-2014 방문연구원, 미국국립보건원, NIH/NHGRI/GMBB
  • 2013~현재, 교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과

주요 논문

  1. Exosomal miR-193a and let-7g accelerate cancer progression on primary colorectal cancer and paired peritoneal metastatic cancer. Transl Oncol. 2021 Feb;14(2):101000.
  2. Establishment and characterization of 18 human colorectal cancer cell lines. Sci Rep. 2020 Apr 22;10(1):6801.
  3. Identification of a Novel Fusion Gene, FAM174A-WWC1, in Early-Onset Colorectal Cancer: Establishment and Characterization of Four Human Cancer Cell Lines from Early-Onset Colorectal Cancers. Trans Oncol, 2019, 12, 1185-1195.
  4. Clonal History and Genetic Predictors of Transformation Into Small-Cell Carcinomas From Lung Adenocarcinomas. J Clin Oncol. 2017;35(26):3065-3074.
  5. Complex Chromosomal Rearrangements by Single Catastrophic Pathogenesis in NUT Midline Carcinoma. Ann Oncol. 2017;28(4):890-8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