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partment of Biomedical Sciences, SNU

연구

연구분야
A. 종양 및 신장내 면역시스템 상호작용 실험실 (의과학관 205호)
암 전이기전, 종양줄기세포, 종양-면역세포 상호작용, 면역조절, 거주면역세포, 조직내 면역 항상성, 신장내 염증과 항상성.
B. 건강한 상태에서 병이 걸리게 되면, 우리 몸 각 조직의 실질세포(줄기세포 포함)가 활성화되고 면역/염증세포가 동원되어 복구를 하게 됩니다. “실질세포-면역세포의 활성 강도의 밸런스”에 따라서 정상적인 치유과정이 되기도 하고 지속적인 손상을 초래하기도 합니다. 암(cancer)은 정상 실질(줄기)세포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며, 병의 진행과정에서 암세포는 항암면역반응이 일어나지 않게 면역세포를 억제하고 염증세포를 변화시켜서 암세포가 침투하고 전이하는 과정에 적극적으로 활용합니다. 결국 암(실질)세포와 면역/염증세포의 상호작용은 환자의 치료 효율과 예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본 연구실은 암의 발생, 암세포의 전이 및 이에 대한 우리 몸의 이상 반응을 주도하는 암세포-면역세포 상호작용을, 세포 하나하나의 특성을 개별적으로 분석함과 동시에 몸 전체의 면역/대사/신호전달 과정을 함께 분석하는 접근방법을 이용해서 통합적으로 해석하고자 합니다.
전공분야 핵심단어
Cancer metastasis, Cancer stem cells, Immune-Cancer cross-talk, Immune regulation, Tissue-resident immune cells, Tissue-Immune cross-talk, Kidney inflammation & homeostasis
심화전공

학력

  • 1982-1988 의학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
  • 1988-1990 의학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신경과학)
  • 1990-1996 의학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신경과학)

주요 경력

  • 1991-1993 전임강사,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 1993-1996 연구원(공중보건의), 식품의약품안전처(국립보건안전연구원)
  • 1996-2000 박사후연구원, 미국 스크립스 연구소 (면역학)
  • 2000-현재 교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과

주요 논문

  1. “A nanostructured phthalocyanine/albumin supramolecular assembly for fluorescence turn-on imaging and photodynamic immunotherapy.” ACS Nano. 2021. Accepted
  2. “Kidney VISTA prevents IFNγ-IL-9 axis-mediated tubulointerstitial fibrosis after acute glomerular injury.” J Clin Invest. 2021. Accepted
  3. “Cancer Stem Cells in the Immune Microenvironment.” Adv Exp Med Biol. 1187: 245-266, 2021. doi: 10.1007/978-981-32-9620-6_12.
  4. “In Vivo-assembled phthalocyanine/albumin supramolecular complexes combined with a hypoxia-activated prodrug for enhanced photodynamic immunotherapy of cancer.” Biomaterials. 266: 120430, 2021. doi: 10.1016/j.biomaterials.2020.120430.
  5. “Kidney residency of VISTA-positive macrophages accelerates repair from ischemic injury.” Kidney Int. 97(5): 980-994, 2020. doi: 10.1016/j.kint.2019.11.025.
  6. “Development of α-GalCer Analogues with an α-Fluorocarbonyl Moiety as Th2-Selective Ligands of CD1d.” ACS Med Chem Lett. 10(5): 773-779, 2019. doi: 10.1021/acsmedchemlett.9b00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