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상수 교수팀, 크리스퍼 단백질 동역학 제어를 통한 높은 정확도의 유전자가위 기술 개발의과학과l2025-07-02 l Hit 257국내 연구진이 크리스퍼-캐스9(CRISPR-Cas9) 유전자가위의 낮은 표적 정확도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단백질 공학 전략을 개발했다. 유전자 교정의 안정성을 높이고 암과&nbs...박상민 교수팀, 팬데믹 기간 중 ADHD 급증 연구결과 발표관리자l2025-06-27 l Hit 152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기간 중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발병률이 유의미하게 증가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박상민 서울대 의과대 가...최무림 교수팀, 대사 이상 지방간염 조절 유전변이 규명의과학과l2025-06-26 l Hit 132개인별 다양한 유전적 배경과 각 환자가 보유한 간 조직 내에서의 다양한 세포 상태를 실험적으로 구현하여 분석을 진행함.(사진 제공=서울대) 대사이상 지방간질환(MASLD)은 전 세...이민재 교수팀, 폐선암과 노화 유도 핵심조절 인자 규명의과학과l2025-06-25 l Hit 101UBR4 유무에 따른 폐암세포 운명의 결정: 종양화 vs. 세포노화.(사진 제공=서울대) 서울대학교 기초의학교실 이민재 교수팀은 폐선암(肺線癌)의 발생을 유도하거나, 반대로 세포를...박성준 공동연구팀, 온도 따라 변하는 전자잉크 개발의과학과l2025-06-12 l Hit 208[연구필요성] 기존의 전자기기는 대부분 딱딱하고 고정된 형태로 제작된다. 이러한 단단한 기기는 높은 성능과 안정성을 보장하는 반면 착용성이나 유연성 면에서 한계를 보이고, 반대로 ...박성준 교수팀, 리간드 결합 액체금속을 활용한 자가포장 신축성 인쇄회로 및 바이오메디컬, 헬스케어 응용법 개발의과학과l2025-06-09 l Hit 176공정 단순화와 누액 방지를 동시에 구현한 다층 신축성 회로 제작 기술 [연구필요성] 신축성 전자소자의 발전에 따라, 웨어러블 기기, 바이오메디컬 인터페이스, 스마트 의류 등 다양한...이민재 교수팀, 프로테아좀의 병인 단백질 제거 기여 사실 규명의과학과l2025-05-30 l Hit 302| 이코노미사이언스 신지원 기자 | 세포 내 단백질 대부분을 분해한다고 알려진 프로테아좀은 단백질 항상성 유지에 핵심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 효소가 세포 밖에서도 존재하는...박성준 교수 연구팀, 50미터급 신축성 액체금속 전자섬유 개발, 실용 스마트 의류로 구현의과학과l2025-05-13 l Hit 341전기적 안정성과 누액방지, 기계적 강인성을 동시 확보한 신축성 전도성 섬유 개발 [베리타스알파=김하연 기자] 서울대 첨단융합학부 박성준 교수(의과대학 겸무) 및 연구팀 (...박상민 교수 연구팀, 단기 미세먼지 노출과 심혈관질환 발생 관련성 규명의과학과l2025-03-25 l Hit 582미세먼지에 단기간 노출된 고령층의 심혈관질환 발생률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는 박상민 의과대학 의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65세 이상 고령 인구에서 단기...채종희·최무림 교수팀, '듀센근이영양증' 새 치료법 발견의과학과l2025-03-21 l Hit 463채종희 교수(左), 최무림 교수(右) 국내 연구진이 유전성 희귀질환인 ‘듀센근이영양증’(DMD)의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확인했다. 듀센근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