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의대, 미국 연구팀과 인체단백질 분석포털 개설 - 김영수 교수의과학과l2014-07-30 l Hit 5539인체단백질 분석의 국제적인 포털 출범에 서울대학교 연구진이 크게 기여 - 1 μg (1/1000 mg) 임상 시료 사용으로 150개 이상 질병 마커를 동시 정량하는 질량기반 표준화...2014.03 우수졸업생 시상식의과학과l2014-03-07 l Hit 48852014. 03. 04. 의과학과 우수졸업상 시상식 김태완(윤홍덕 교수님) O-GlcNAc regulates pluripotency and reprogramming by direc...암 진단 기술 어디까지 왔나? 혈액 한 방울로 암을 진단 - 김영수 교수의과학과l2013-12-10 l Hit 7482암 진단 기술 어디까지 왔나? - 1 μg (1/1000 mg) 유방암 시료에서 300개 이상 단백질 표지자를 한 번에 정량 분석할 수 있는 기술 개발 - 저렴한 비용으로 혈액 한...2013 보건복지부장관 표창 - 묵인희, 박종완 교수의과학과l2013-12-09 l Hit 4292『2013 보건의료기술진흥 유공자 정부포상 시상식』개최 HT 분야 국가 경쟁력 향상에 기여한 유공자 37명 수상 보건의료분야의 중요성을 알리고, 공감대를 확산시키는「2013 보건의...석좌교수(Dr. Aaron Ciechanover - 2004년 노벨화학상 수상) 임용기념 특별심포지엄의과학과l2013-12-05 l Hit 5344지난 11월 28일, Aaron Ciechanover 박사님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석좌교수 임용을 축하하기 위해 암연구소 이건희 홀에서 의과대학 및 단백질대사분과 교수님들을 모신 ...제1회 의과학과 교수 워크숍의과학과l2013-09-13 l Hit 4038제1회 의과학과 교수 워크숍 2013년 8월 26일~27일, 화성 롤링힐스 호텔 2013년 대학원 의과학과 교수 워크숍이 8월 26일 화성 롤링힐스호텔에서 개최되었다. 교수간의 화...의과학과 BK21 플러스 사업 선정의과학과l2013-09-11 l Hit 5224BK21플러스, 64개大 선정…석박사 1만8500명 육성 올해부터 7년간 매년 2500억원이 투입되는 두뇌한국(BK)21 사업을 통해 과학기술과 인문사회분야 석박사급 인재 1만85...뇌신경세포 신호전달의 최종단계 작용 밝혀 - 이석호, 호원경 교수의과학과l2013-09-02 l Hit 5353뇌신경세포 신호전달의 최종단계 작용 밝혀 서울대 이석호·호원경 교수팀, 노벨상 수상자와 공동연구 국내 연구진이 노벨상 수상자와 진행한 공동연구에서 신경세포 신호전달의 최종단계에 대...2013.08 우수졸업생 시상식의과학과l2013-09-02 l Hit 46622013. 08. 30. 의과학과 우수졸업상 시상식 박순현(호원경 교수님) Leptin promotes KATP channel trafficking by AMPK signaling...비만과 당뇨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단서 포착 - 호원경, 전주홍 교수의과학과l2013-07-25 l Hit 6718국내 연구진이 식욕억제 호르몬 렙틴*이 췌장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조절하는 기전을 밝혀냈다. 그 간 베일에 가려 있었던 렙틴과 인슐린의 상호 작용을 분자 수준에서 밝힘으로써, 비...